전체 글189 강원도 정선여행 백두대간생태수목원 소개 강원도 정선 하면 청정지역으로 태백산맥의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으며 여름철은 피서지로 겨울철은 눈 풍경의 아름다움을 찾아 많이들 방문하곳입니다. 그중에 정선에 위치한 백두대간생태수목원을 소개드리려 합니다. 이제 피서철이 다가오는 만큼 정선에 방문하시면 꼭 한번 들러보세요. 정선 백두대간생태수목원 소개 백두대간 생태수목원은 정선군 임계면 석병산 일대 124ha(축구장 720개)의 크기입니다 2001년부터 조성을 시작하여 2010년까지 진행하였으며 22개의 주제원, 5개의 탐방로에 1,269종, 41만 4000본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단계적으로 시설을 보완하고 있으며 뛰어난 경관과 건강한 산림생태공간을 제공하여 자연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시기 바랍니다. 또한 산림유전자원 증.. 2023. 6. 23. 강원도여행 청정고원 태백 용연굴 소개 강원도 청정고원 태백에 위치한 용연굴을 소개합니다. 강원도 태백은 청정고원 도시로 생각만 해도 시원하고 경치가 정말 아름다운 곳입니다. 강원도 여행하신다면 꼭 태백에 방문하세요. 그리고 강원도 기념물로 지정된 용연굴도 꼭 들려보시기 바랍니다. 태백 용연굴 소개태백에 위치한 용연굴은 1980년 2월 26일 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약 1억 5천~3억 년 만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퇴적된 석회암이 수백 년간 빗물과 지하수에 서서히 녹아 만들어진 석회동굴입니다. 동굴의 길이는 약 843m이며 폭은 50m 길이는 130m의 대형공간이 있습니다. 용연굴의 내부 온도는 9~11도이며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건식 동굴입니다. 용연굴의 곳곳에 종유석, 석회화폭이 발달하여 습도와 유기질이 풍부하여 동굴동물이 .. 2023. 6. 22. 강원도 태백여행 몽토랑 산양목장 소개 강원도 태백의 몽토랑 산양목장을 소개합니다. 태백은 이름만으로도 시원하고 아름다운 풍경이 그려지는 지역입니다. 강원도여행을 하시면서 꼭 태백에 들르셔서 몽토랑 산양목장의 아름답고 멋들어진 풍경으로 시원한 여름을 이겨내시길 바랍니다. 태백몽토랑 산양목장 소개 몽토랑 산양목장은 몽글몽글, 토실토실, 너랑 나랑 목장이라는 긴 문구를 줄여 만든 이름입니다. 목장을 거닐다 보면 저 건너의 매봉산 능선에 풍력발전기가 돌아가는 모습이 보이며 그 위로 몽실몽실 구름이 떠가는 모습은 그 어떤 그림보다 아름다운 풍경입니다. 산양먹이 주기, 착유체험, 치즈체험, 피자체험, 산양유 비누 만들기 등 체험가능 합니다. 산양 염소과동물로 젖 생산을 목적으로 사육된 가축으로, 토종 흑염소와는 얼굴과 꼬리모양이 다소 다르며 사람을 잘.. 2023. 6. 21. 서울여행 송파문화재야행 소개 및 행사내용 송파구에서 역사적인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송파문화재야행을 진행합니다. 송파의 소중한 문화재의 의미를 되새기고 다채로운 체험과 공연 투어가 함께합니다. 송파문화재 야행의 소개와 행사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시원한 저녁시간 가족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 되시기를 바랍니다. 송파문화재 소개 송파는 2천년전 백제의 수도로 석촌동고분군, 풍납토성, 몽촌토성과 같은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고대국가 백제는 중국, 일본, 동남아국가와의 활발한 교역을 하며 해상실크로드를 개척한 해상강국입니다. 진행되는 송파문화재야행은 문화 강국 백제의 문화재를 아름다운 달빛아래 우리의 소중한 역사의 의미를 다시 한번 돌아보며 여러 프로그램과 함께 축제로 진행됩니다. 백제 왕과 왕족, 귀족의 무덤이 있는 석촌동고분군, 옛 송파나루가 있던.. 2023. 6. 20. 서울여행 송파구 국가지정 문화재 소개 서울여행을 계획하신다면 송파구내에 많은 문화재와 석촌호수등을 여행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천 년 전 백제의 수도였기에 역사적인 의미가 있는 송파구 문화재를 소개드리려 합니다. 백제의 역사적인 의미를 생각하며 돌아보시면 뜻깊은 시간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송파구 국가 지정문화재 소개 1. 서울풍납토성 삼국시대 충적대지상에 구축한 백제의 성곽. 토성. 사적으로 흙으로 쌓은 평지성입니다. 풍납토성 또는 풍납동토성이라고도 합니다.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으며 한강과 맞닿은 서쪽성벽이 유실되어 지금은 약 2.7km만 남아 있지만 서벽이 존재하였다면 총둘레의 길이가 약 3.7km에 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규모는 국내성(둘래 약 2,6km)이나 경주의 월성(둘레 2,4km)보다도 훨씬.. 2023. 6. 20.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38 다음